본문 바로가기

최근 소식

[삼성전자] 파운드리 전망

반응형

삼성전자 로고(출처:한국경제)

반도체는 설계, 생산, 테스트, 판매유통의 단계를 거칩니다.

그리고 어떤 단계를 맡아서 하는가에 따라 구분합니다.

칩리스

반도체의 기반기술 설계, 개발만 전담하는 회사입니다.

반도체가 칩이죠. 칩리스는 반도체가 없다는 뜻입니다. 

자신들이 설계한 반도체의 설계 라이선스를 공급하고

지적재산권 수익을 얻는 회사입니다.

팹리스

칩리스 회사의 설계를 기반으로 CPU, GPU 같은 반도체를 설계하고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팹은 반도체 생산설비(Fabrication facility)를 말합니다. 

즉 팹리스 회사들은 반도체를 자체 생산하지 않습니다. 

파운드리

반도체 생산설비 팹을 건설하기위해서는 막대한 설비투자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팹리스 회사들에게도 설비 투자는 큰 부담입니다.

그래서 반도체 설계없이 생산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파운드리 회사입니다.

IDM(종합반도체기업)

반도체의 설계, 생산, 유통 판매까지 전부 하는 회사를 IDM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설계 생산 테스트 판매유통 업체
칩리스 O X X X ARM, Synopsys
팹리스 O X X O NVIDIA,퀄컴
파운드리 X O O X TSMC, 삼성전자
IDM O O O O 삼성전자, 인텔
반도체 기업의 종류와 역할

 

반응형

 

반도체 생산 피라미드 (도표출처:semiwiki)

칩리스 회사들은 집적회로 설계에 특화되어 있는 회사로 칩의 기본인 집적회로를 개발합니다.

EDA회사는 각각의 기능의 칩들을 집적해서 다기능 칩을 제작하는 회사로 엄청나게 복잡한 회로 설계를 담당합니다.

반도체 설계가 끝나면 반도체를 만드는 재료를 생산하는 회사와 반도체 제작 설비를 생산하는 업체가 필요합니다.

팹리스 회사는 자체 반도체 생산 설비가 없기때문에 파운드리 회사에 제작을 맡깁니다.

IDM은 자체설계부터 생산까지 혼자서 다합니다.

파운더리 기업은 팹리스 회사가 준 설계도대로 반도체를 생산해서 공급하는 회사입니다.

생산능력만 있고 설계능력은 없는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삼성전자의 경우 자사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경우는 설계부터 생산까지 다 합니다.

그리고 이와 분리된 파운드리 회사가 따로 존재하고있습니다.

 

현재 파운드리 1위 기업은 TSMC입니다. 대만기업입니다.

전 세계 점유율 55.6%입니다.

애플, 퀄컴, 엔비디아, AMD, 인텔등이 TSMC의 고객입니다.

 

전세계 2위의 파운드리 기업은 삼성전자입니다.

점유율은 16.4%입니다. 1위와의 차이가 큽니다.

하지만 3, 4위 업체와도 격차가 커서 확고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와 AI기술의 발전으로 현재 전 세계의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때문에 파운드리 시장은 엄청나게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TSMC혼자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삼성전자 파운드리 점유율이 높아질 예정입니다.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와 TSMC는 비슷한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TSMC는 더 많은 종류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더 많은 고객의 필요를 맞춰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파운드리 시장에 늦게 뛰어들어, 고객의 수도 적고,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범위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5 나노 이하 반도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네덜란드 ASML사에서 만드는 EUV장비가 필요합니다.

한대당 2천억 원의 초고가이면서 생산량이 매우 적습니다.

이 생산장비의 대부분이 TSMC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종합반도체 회사입니다.

TSMC는 설계를 하지 않기 때문에 팹리스 회사들과 경쟁관계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설계와 생산을 같이하는 종합반도체기업이기 때문에 팹리스 기업과 경쟁관계에 있습니다.

때문에 경쟁사에 자사의 반도체 설계도가 넘어가는 것에 대해 매우 경계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극복해야 하는 가장 큰 문제로 보입니다.

 

결론

현재 3 나노 공정이 가장 최신의 기술입니다.

3나노 공정 양산에 어느 회사가 먼저 돌입하는가에 따라 앞으로의 시장 점유율에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리고 10 나노 이상의 반도체 생산을 꾸준히 지속하면서 고객을 늘려야 할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현재 가장 관심을 받는 분야가 파운드리 분야이기 때문에 더욱 많은 투자를 하면서 시장을 주도해 나가려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LIST